원익배 십단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익배 십단전은 원익그룹과 한국기원의 후원으로 개최된 속기 바둑 기전으로, 모든 대국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제한 시간은 각자 10분, 초읽기 40초 3회였으며, 덤은 6.5집이었다. 결승전은 3번기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우승 상금은 2,500만 원이었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총 8번의 대회가 열렸으며, 이창호, 박정환, 이세돌 등이 우승했다. 또한, 2012년에는 원익배 여류십단전이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 여류명인전 (한국)
여류명인전은 한국기원에서 주최하는 여성 바둑 기전으로, 8명의 본선 진출자가 패자부활전 방식 토너먼트를 거쳐 전기 여류명인과 도전 3번기를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리며, 루이 나이웨이 9단과 최정 9단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 KBS 바둑왕전
KBS 바둑왕전은 1980년부터 KBS에서 방영된 한국 바둑 TV 프로그램으로, 국내 정상급 프로 기사들의 속기 대국을 방송하며 한국 바둑 발전에 기여했고, 조훈현과 이창호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대회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원익배 십단전 | |
---|---|
원익배 십단전 | |
주최 | 원익 |
주관 | 한국기원 |
후원 | 원익 |
기전 성격 | 한국기원 기전 |
우승 상금 | 5,000만원 |
준우승 상금 | 2,000만원 |
제한 시간 | 각자 2시간, 초읽기 40초 5회 |
역대 우승자 | |
1기 | 박정환 |
2기 | 신진서 |
3기 | 신진서 |
4기 | 박정환 |
5기 | 신진서 |
2. 대회 방식
모든 대국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제한 시간은 각자 10분, 초읽기 40초 3회, 덤은 6.5집이다.[1] 출전자는 전기 상위 시드 4명, 스폰서 지명 1명, 예선 통과자 39명으로 총 44명이다.[3]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된다.[3]
제한 시간은 각자 10분, 초읽기는 40초 3회이다.[3] 덤은 6집 반이다.[3]
여류 랭킹 상위 2명(1회전 시드)과 예선 통과자 12명, 총 14명이 참가하는 여류십단전의 경우 토너먼트전으로 진행되며, 결승전은 단판 승부이다.[4]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원익배 십단전 본선 참가 자격을 얻으며, 본선 토너먼트 참가자는 원익배 십단전 예선 참가 자격을 얻는다.
3. 역대 우승자
회수 연도 우승 전적 준우승 1 2006 이창호 2:1 박영훈 2 2007 안조영 2:1 백홍석 3 2008 이창호 2:0 목진석 4 2009 박정환 2:0 백홍석 5 2010 박정환 2:1 이창호 6 2011 이세돌 2:1 강유택 7 2012 최철한 2:0 강동윤 8 2013 강동윤 2:0 박영훈
이미 주어진 출력 결과물이 모든 조건을 만족하므로, 수정 없이 그대로 출력합니다.
3. 1. 원익배 십단전
원익배 십단전은 원익그룹과 한국기원이 후원하고 속기 바둑으로 진행된 바둑 기전이다. 대국은 각 10분의 제한 시간과 40초 초읽기가 주어졌다.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되었으며, 우승 상금은 2500만원이었다. 이 기전은 일본의 십단전에 해당한다.
회수 | 연도 | 우승 | 전적 | 준우승 |
---|---|---|---|---|
1 | 2006 | 이창호 | 2:1 | 박영훈 |
2 | 2007 | 안조영 | 2:1 | 백홍석 |
3 | 2008 | 이창호 | 2:0 | 목진석 |
4 | 2009 | 박정환 | 2:0 | 백홍석 |
5 | 2010 | 박정환 | 2:1 | 이창호 |
6 | 2011 | 이세돌 | 2:1 | 강유택 |
7 | 2012 | 최철한 | 2:0 | 강동윤 |
8 | 2013 | 강동윤 | 2:0 | 박영훈 |
3. 2. 원익배 여류십단전
圓益杯女流十段戦|원익배 여류십단전중국어은 2012년에 1기 대회가 개최되었다.- 주관: 한국기원
- 주최: 바둑TV, 경향신문
- 후원: 원익, 원익IPS, 원익머트리얼즈
- 우승 상금: 1000만원
- 여류 랭킹 상위 2명(1회전 시드)과 예선 통과자 12명, 총 14명에 의한 토너먼트전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은 단판 승부였다.
-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원익배 십단전 본선 참가 자격을 얻었다.
- 제한 시간: 각 10분, 40초 초읽기 3회
- 덤: 6집 반
- 제1기(2012년): 조혜연 - 김혜민
2012년 1기 대회 대진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분 | 대진 | 결과 |
---|---|---|
1회전 | 박소현 | 고주연 |
이지현 | 김윤영 | |
권효진 | 김나현 | |
오정아 | 김혜민 | |
오유진 | 이영주 | |
김미리 | 최정 | |
2회전 | 조혜연 (시드) | 고주연 |
김윤영 | 김나현 | |
김혜민 | 이영주 | |
박지은 (시드) | 최정 | |
준결승 | 조혜연 | 김윤영 |
김혜민 | 박지은 | |
결승전 | 조혜연 | 김혜민 |
4. 관련 기전
원익배 십단전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중 하나였다. 현재는 여러 기전들이 시행되고 있거나, 과거에 시행되었었다.
현재 진행 중인 기전은 다음과 같다.
종류 | 기전 이름 |
---|---|
일반 기전 | GS칼텍스배, 명인전, 맥심커피배, 한국기원선수권전, 쏘팔 코사놀 최고기사 결정전 |
제한 기전 | 하찬석 국수배 영재바둑대회,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바둑TV배 마스터스 |
시니어 기전 | 대주배, 시니어 바둑 클래식 |
단체 기전 | 지지옥션배, 한국바둑리그, 바둑리그 챔피언스컵 |
여자 기전 |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여류기성전, 여류명인전, 여자 기성전, 여류국수전,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마스터스, 한국여자바둑리그 |
과거에 존재했던 기전은 다음과 같다.
종류 | 기전 이름 |
---|---|
일반 기전 | KBS 바둑왕전, 국기전, 국수전, 기왕전, 기성전, 대왕전, 배달왕전, 백남배, 신왕전, 신인왕전, 패왕전, 용성전, 왕위전, 왕좌전, olleh배, 천원전, 최고위전, 크라운해태배, 한국물가정보배 |
제한 기전 | KBS 7.8.9전 특별대국, Let's Run PARK배, YK건기배, 오스람코리아배 신예연승최강전, SK가스배 신예프로10걸전 |
시니어 기전 | 프로시니어기전 |
기타 | MBC 국기전, MBC 제왕전,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여류십단전, 전국위기선수권전, 전일왕좌전, 청소년배, 최강자전, EBS배 여류프로기전 |
참조
[1]
웹사이트
Go Tournament: Sibdang Cup
https://web.archive.[...]
gogameworld.com
2011-06-01
[2]
웹사이트
囲碁TV「원익배 여류십단전」
http://www.tvbaduk.c[...]
[3]
웹사이트
韓国棋院「초대 여류십단 주인공은 조혜연 9단!」
http://m.baduk.or.kr[...]
2012-10-16
[4]
웹사이트
TYGEM「여류十段 초대왕관은 조혜연!」
http://game.daum.net[...]
2012-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